1) L-1속
▶ 토크 건버터 → 입력축 → 리어클러치, 로우리버스 브레이크, 원웨이 클러치 작동 → 전진 선기어 구동(캐리어 고정) → 링기어 → 아이들 기어 → 드리븐 기어 → 종감속기어 및 차동기어 - 등속축 → 구동바퀴
2) D-1속
▶ 토크 건버터 → 입력축 → 리어클러치, 원웨이 클러치 작동 → 전진 선기어 구동 → 링기어 → 아이들 기어 → 드리븐 기어 → 종감속기어 및 차동기어 - 등속축 → 구동바퀴
3) D-2속
▶ 토크 건버터 → 입력축 → 리어클러치, 킥다운 브레이크 → 전진 선기어 구동(후진 선기어 고정) → 링기어 → 아이들 기어 → 드리븐 기어 → 종감속기어 및 차동기어 - 등속축 → 구동바퀴
4) D-3속
▶ 토크 건버터 → 입력축 → 프론트 클러치, 리어클러치 작동 → 전진 선기어 및 후진선기어 같이 구동 → 링기어 → 아이들 기어 → 드리븐 기어 → 종감속기어 및 차동기어 - 등속축 → 구동바퀴
5) D-4속
▶ 토크 건버터 → 입력축 → 프론트 클러치, 로우 리버스 브레이크 → 후진 선기어 구동, 캐리어 고정) → 링기어 → 아이들 기어 → 드리븐 기어 → 종감속기어 및 차동기어 - 등속축 → 구동바퀴
6) 후진(R)
▶ 토크 건버터 → 입력축 → 리어클러치, 로우리버스 브레이크, 원웨이 클러치 작동 → 전진 선기어 구동(캐리어 고정) → 링기어 → 아이들 기어 → 드리븐 기어 → 종감속기어 및 차동기어 - 등속축 → 구동바퀴
▶ 각 변속단의 작동 요소표 ◀
선택
레버 위치 O/D
스위치 변속단 변속비 클러치 브레이크 기종 F4A33 프론트
클러치 리어
클러치 엔드
클러치 원웨이
브레이크 킥다운
브레이크 리버스
브레이크 P - 주차 - - R - 후진 2.176 2.178 ○ ○ N - 중립 - - D ON 1속 2.846 2.551 ○ ○ 2속 1.581 1.448 ○ ○ 3속 1.000 ← ○ ○ ◑ 4속 0.685 ← ○ ○ D 0FF 1속 2.846 2.551 ○ 2속 1.581 1.448 ○ 3속 1.000 ← ○ ○ ◑ 2 - 2속 2.846 2.551 ○ ○ 1속 1.581 1.448 ○ ○ 1 - 1속 2.846 2.551 ○ ○
○표 : 직동 요소 ◑표 : 작동은 되나 영향을 주지 않음
유성기어
1) 유성기어 구성 : 유성기어 유니트는 포워드선기어, 리버스선기어, 애눌러스기어(내접기어), 롱피니언, 쇼트피니언, 유성 캐리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성기어 유니트는 전달 토크증대,속도 증가, 회전방향을 바꾸거나 직접구동을 위한 연결 장치의 기능 등의 역할을 한다
2) 감속 : 선기어 고정 되며, 동력은 시계방향으로 링기어에 전달 유성피니언 시계방향 회전 하며 고정된 선기어 주위를 회전 캐리어 어셈블리가 감속 되면서 시계방향으로 출력
3) 직접구동 : 직접구동은 유성기어 유니트의 2요소가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얻어진다. 이 힘은 제3의 요소를 동일한 속도로 회전 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피니온은 자체 회전하지 않고 전체 유니트가 한 회전체가 되도록 고정
4) 회전방향 전환(후진) : 캐리어의 회전 운동이 구속을 받고 동력이 선기어나 혹은 기어에 전달되면 회전방향이 바뀌게 된다. 이것은 유성 피니언들이 아이들 기어 역할 하며 출력축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5) 증속 : 선기어 고정, 캐리어 구동(입력) 하면 링기어 증속 출력
'.....................지식 > 금속 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속 열처리 필요성(목적) (0) | 2013.12.13 |
---|---|
기어 필요성 (0) | 2013.12.13 |
[스크랩] 경도기 (0) | 2013.11.26 |
[스크랩] 항복점, 인장강도 YP (0) | 2013.11.20 |
[스크랩] 철강재강도,해설 및 종류 YP TS EL (0) | 2013.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