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금속 검사

[스크랩] 철강재강도,해설 및 종류 YP TS EL

행복해1 2013. 11. 20. 11:37

 
분 류 강 종 특 징
  SS400 일반강종으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강종임
일반구조용강 SS490 용접용으로는 불리해서 제한적으로 사용함
Steel Structure SS540 주로 철탑용으로 사용되고 순수 Bolting 구조물에 사용
  SM400A, B, C 일반강도로 용접성이 필요한 구조물에 사용
  SM490A, B, C SM400강종 대비 고강도가 요구되는 구조물에 사용
용접구조용강 SM490YA, YB Nb(니오븀)을 첨가해서 항복강도를 SM490A,B,C대비 최저 약 12% 향상시킨 강종
Steel marine SM520B, C SM490대비 인장강도를 최저 약 6% 향상시킨 강종
  SM570 열처리(Nomalizing rolling), 제어압연(Controlled rolling)한 고강도강
열가공제어강 SM490TMC 고층 건축물 기둥재로 사용하며
Thermo Mechanical SM520TMC 제어압연과 고인성,용접성이 뛰어난 강재로
Control Process(TMCP강) SM570TMC 두께 40mm 초과 후판에서 설계강도의 저감이 없슴
건축구조용강 SN400A 연신율, 항복비, 탄소당량, P. S(비금속게재물)함량 제한으로
(Steel New) SN490B.C 내진성능, 충격성능, 용접성을 강화한 후판강종으로 건축구조물에 사용
건축구조용H-BEAM SHN400 연신율, 항복비, 탄소당량, P. S(비금속게재물)함량 제한으로
Steel H-beam New SHN490 내진성능, 충격성능, 용접성을 강화한 H-BEAM으로 건축구조물에 사용

1.강종에 사용되는 숫자의 의미.

강종에 400, 490, 520, 570과 같은 나타나는 숫자가 의미하는것은 인장강도(N/㎟)를 의미하며

인장강도는 철강재의 기계적 성질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철강재를 시험할 수 있는 KS에서 규정된

시험편(시험할 수 있는 철 조각)을 만들어 양쪽 끝을 끊어질때까지 잡아 당겼을때 나타나는 최대값을 의미합니다.

2.강종에 나타나는 A, B, C 영어 알파벳의 의미.

샤르피 흡수에너지의 등급을 의미하는 알파벳으로 A : 제한하는 값이 없슴, B : ≥27J (0℃) , C : ≥47J(0℃).

철강재 시험편에 빠른 속도로 충격을 가했을 때 강재가 변형될 여유도 없이, 어느정도의 힘까지 버티는지를

(파괴되는) 강도를 측정하는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정 온도조건에서 충격을 흡수해 철강재가 파괴되지 않고

버티는 에너지(힘)를 표시하는것임.

온도규정을 두는 이유는 우리도 일상생활에서 느끼듯 온도가 내려가면 내려갈수록 깨지는 성질(취성: Brittleness)이

높아지므로 0℃의 제한조건을 두는것이며, SM570강종에서는 -5℃제한조건을 주고 있슴.

극한지에서 사용하는 철강재 강종의 경우 -60℃에서 시험하는 온도조건을 가지는 경우도 있슴.

3.용접구조용강 SM490YA, YB에 나타나는 Nb원소가 철강재에 주는 영향.

Nibium(니오븀)은 합금강에 첨가하는 중요한 원소로 내식, 내열성이 우수해 화학공업용철강재

원자로용 철강재에 사용되며 강력한 철강 결정립(Crystal grain)조직 미세화 원소로 철강금속은

결정립이 미세화 될수록 항복강도가 증가합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도 알 수 있는것은 옷감이나 모기장, 고기잡이용 그물을 보면

천의 조직이나 그물망이 촘촘하면 촘촘할수록 질기고 튼튼한것을 느끼듯이

철강재도 마찬가지임.

 

(출처 -  스틸잡 )

출처 : 영찬스틸
글쓴이 : 혀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