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금속 검사

[스크랩] 항복점, 인장강도 YP

행복해1 2013. 11. 20. 11:39

철강재에서 가장 중요하고 , 테스트 성적이 우수하며, 간단한 시험이 기계적 시험(물리시험)으로

잡아당기기가 있습니다.

 

말 그대로 학교 운동회 줄다리기하는것처럼 줄이 끊어질 때까지 당기는 사람의 수를 늘려가며(Power up)

줄다리기용 줄을 끊어질 때까지 당겨 보는겁니다.

줄다리기용 줄이란 줄은  모두를 잡아당겨 쎈줄, 약한줄, 성질을 알아보는거죠.

 

마찬가지로 철강재도 당겨보는 겁니다.

철강재가 단단하니 당기는데 너무 많은 사람이 필요하고, 장소도 마땅치 않으니,  철강재 양쪽끝을 성능

120Ton정도 되는 인장시험기에 양쪽을 물린다음,  끊어질때까지 당겨 보면서 강재의 변형과정 중에

중요한 포인트를 정해서 항복점, 인장강도라는 전문용어를 등장시켰습니다.

 

이제부터는 머리복잡해지는 전문용어가 등장하는데요

단위로는  N/㎟ (=MPa) 로 아래 Graph에 나타나는 단위도 N/㎟입니다.

항복점, 인장강도 모두 같은 단위를 사용합니다.

 

※비교를 위해 Thickness별 값이 다를경우 항복점은 최저두께, 인장강도는 최저인장강도값으로 비교

   단위는 N/㎟

 

이와같은 인장강도, 항복점은 어디서 찾아볼 수 있을까요?

Mill Test Certificate (MTC : 검사증명서)라는 철강재의 출생증명서 역할을 하는 볼 수 있는데

여기서도 찾아보기가 어렵게 되어 있습니다.

 

작은 종이 안에 한글로 쓰려니 칸은 적고 그러다 보니 영어로 기재하면서 약자를 사용하니

MTC를 봐야 까만것은 글씨고 하얀곳은 종이일 따름입니다.

 

여기서 항복점(항복강도)은 YP(Yield Strength), 인장강도는 TS(Tensile Strength)로 표기되는데

항복점과 인장강도가 뭔지를 알기도 전에 사람을 지치게 만드는 철강용어들입니다.

 

종이도 잡아당기면 끊어집니다.

당기는데 더 큰 힘이 필요해서 그렇치,  철강재도 당기면 끊어집니다.

 

그런데 철강재를 양쪽에서 잡아당기면 늘어나기 시작해서, 원래의 형태에서 모양이 변하기 시작하는

(변형점) 지점을 항복점이라고 하며,  항복점을 지나면, 철강재의 원래 모습으로 돌아오지 않는

영구적인  변형을  가져오게 됩니다.

 

이것은 모나미 볼펜속에 있는 용수철을 잡아 당겨보면 알 수 있습니다.

어느정도까지 당기면 원래의 용수철 모습으로 돌아오지만 더 힘을 주어 당기면 늘어나서 원래의

용수철 모습으로 돌아오지 않습이다.

 

이렇게 변형되는것을 철강에서는 소성변형이라고 합니다.

 

항복점을 지나 더 많은 힘을 가해주면 계속 변형이 되다면 똑,  끊어지게(파단) 되는데,

철강재가 끊어질때까지 최고로 들어간 당긴 힘을 양을 측정해, 그 힘을 인장강도값으로 사용합니다.

 

그러니 위의 표를 보면 각 철강재 마다 항복점보다는 인장강도값의 수치가  크다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강재가 파단(파괴되어 끊어짐) 인장강도값이 중요하니 위의 Graph에서 보듯 철강재 기호, 예를들어

SS400인 경우에 최소 인장강도값을 철강재 약호에 그대로 적용해서 강재의 물성을

바로 알수 있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철강재를 항복점 인장강도를 알아보려고 해도, 철강재도 모양, 굵기, 크기가 제각각이니

KS에서는 KS B0801, JIS에서는 B7701, ASTM E8~50, DIN 50146,149로 시험할 재료(시험편)의

크기와 규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철강재를 시험하려면 규격에 맞는 시험편을 만들어야 하는데  철강재가 가공인 쉬운 고무나 나무가

아니니,   시험해 보려고  시험편을 만드는것도 기계의 힘을 빌려야합니다.

 

철강사에서는 Test할 철강재료에서 시험편을 가스절단기로 떼 낸 다음(채취) 규격에 따른 판형,

둥근형태의 환형으로 시편 가공기로 다듬은 다음,

 

120톤 규격의 인장시험기에(설비용량은 다를수 있슴)  시편의 양쪽을 물리고 끊어질 때까지  당기며,  

컴퓨터로 연결되어 나타나는 시험의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자료 출처  - steel job >>>

출처 : 영찬스틸
글쓴이 : 혀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