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표면 저항 (Sheet Resistance)
- 주로, 정사각형 판형 면적의 층 저항을 말함 - 표기 : Rsheet 또는 R□ - 단위 : [ Ω/□ ],[ Ω/㎡ ] ㅇ 표피 저항 (Surface Resistance) - 주로, 도체의 표피효과에 따른 저항을 말함 2. 표면 저항![]()
ㅇ 표면저항은 보통 제작과정에서 이미 주어지는 량 (전도율 σ=1/ρ 및 두께 t) ㅇ 설계자는 L/W (square 개수)를 조절하여 원하는 총저항값을 얻게됨
출처: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id=156&m_temp1=4416&nav=1
고유저항 (체적저항):
주어진 순수한 물질의 고유저항이며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전기 이온에서 어떤 물질의 저항 R 은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수직인 단면 A 에 반비례하고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L 에 비례한다. 이것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R∝ L/A ---[a-1],
R = (상수)×L/A ---[a-2]
여기서 상수는 체적저항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가지 순수한 물질에 대한 것은 나와 있습니다. 단위는 Ohm-㎠/㎝ 이므로 Ohm-㎝가 됩니다. 그러므로 위의 식은
ρv=RA / L ---[a-3]
가 됩니다.
순수한 물질의 저항은 치수를 알고있는 물질 (즉 길이 : L ,폭 : W, 두께 : t ) 의 저항을 조사하여 얻을 수 있습니다. 단면이 정사각형인 물질 즉 L = w 라면 [a-3] 의 식은
ρv=Rt ---[a-4]
로 됩니다. 일정한 체적저항 ρv 를 가진 Bench Top, Tote Box, Tray 와 같이 덩어리로 된 전도체의 저항 R 은 [a-2]식으로부터 두께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ρv 는 일반적으로 물질이 정사각형인 경우의 저항 R 을 측정하고 [a-3]식에서와 같이 이 저항을 t로 곱하므로 얻어집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 중인 체적저항 측정 방법과 원리(ASTM D-257) 는 아래 그림과 같고 체적저항 ρv = A/t . Rm ohm-cm < A : 전극의 접촉 단면적 ( cm2) ,t : 측정물의 두께 ( cm) , Rm : 측정된 저항 ( ohms) >로 구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ensil0&logNo=50010300454
'.....................지식 > 전기 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연저항,내전압 테스트 (0) | 2013.12.10 |
---|---|
절연저항이란? (0) | 2013.12.10 |
저항 종류 (0) | 2013.12.05 |
[스크랩] 표면저항 측정기란? (0) | 2013.12.05 |
내전압 시험(자가 품질 관리) (0) | 2013.12.05 |